전체 글 19

청와대 개방 후기(관람시 주의사항, 예약법, 코스추천, 반려동물 동행 가능 여부)

안녕하세요. 저는 지난 6월 1일에 청와대를 다녀왔습니다. 각설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청와대 관람시 주의사항, 예약법, 추천코스 등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청와대를 들어갈 수 있는 곳은 사진을 기준으로 맨 왼쪽인 '영빈문', 가운데에 있는 '정문', 그리고 맨 오른쪽에 있는 '춘추문'이 있습니다. 영빈문으로 가면 '영빈관'을 볼 수 있고, 정문으로 가면 '본관', 그리고 춘추문으로 가면 '춘추관', '관저'를 먼저 볼 수 있습니다. 청와대를 가면 꼭 봐야 하는 4가지 장소입니다. 그러면 어느 문으로 입장하는 것이 좋을까요? 만약 칼같이 입장이 가능하다면 '정문'에서 시작해서 바로 '본관'으로 가야 합니다. '본관'에 가는 것이 좀 늦었다 싶으면 영빈관, 관저, 춘추관부터 보고 마지막에 본관에 가는 것..

트렌드 정보 2022.06.07

구글 검색 트렌드를 알 수 있는 'Google 트렌드'

안녕하세요! 이번에 소개드릴 트렌드를 파악하기 좋은 사이트는 구글 검색 트렌드를 알 수 있는 'Google 트렌드' 입니다. Google 트렌드 trends.google.co.kr 이전에 소개드린 '네이버 데이터랩'이 네이버 검색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라면, Google 트렌드는 세계 최대의 검색 포털인 구글의 검색 결과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Google 트렌드는 아무래도 우리나라의 트렌드를 살펴보기 보다는 전 세계, 특히 미국의 트렌드를 파악하기 좋은 사이트입니다. 구글 트렌드는 최대 5가지 검색어를, 2004년부터 현재까지를 기준으로, 비교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검색량에는 미국 중심의 서구권의 영향력이 클 것이지만, 세계는 이제 하나의 마을로 취급되고 있고 동..

트렌드 정보 2022.04.05

스마트폰 이후의 미래는 메타버스(metaverse)에 있을까?

스마트폰의 등장은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꾸었습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등의 SNS의 발달. 그리고 배달의민족, 오늘의집, 요기요 등 편리한 O2O 서비스의 발달은 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도 이제 포화상태가 되었습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스마트폰 보유율은 91%입니다. 기능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이제 스마트폰이 없는 국민은 거의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새로운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바로 가상과 현실의 결합을 뜻하는 '메타버스(metaverse)'입니다. 메타버스는 2021년 초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네이버 데이터랩에 따르면 2020년 말부터 메타버스가 조금씩 언급되기 시작하더니, 202..

트렌드 읽기 2022.03.21

IT 트렌드를 알 수 있는 '미디어 통계포털'

트렌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정말 다양합니다. 하지만 그중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IT'라는 것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은 세상을 근본적으로 바꾸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모두가 IT 기술로 세상이 바뀌었는지 알지만, 실제로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아는 분들은 드뭅니다. 사람들이 실제로 얼마나 '휴대폰' 'SNS' 등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바로 '미디어 통계포털'입니다. 미디어통계포털 [2022.03.09] 2021 미디어통계수첩으로 살펴 보았습니다! 방송광고 매출의 모.든 .것 전격공개 [출처] 2021 미디어통계수첩으로 살펴 보았습니다! 방송광고 매출의 모.든 .것 전격공개 stat.kisdi.re.kr 사이트에 가면 바로 첫화면에 '미..

트렌드 정보 2022.03.16

인구 변화를 알 수 있는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 사이트

저출생(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된다는 사실은 모두 알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세상이 변화할지 한눈에 들어오지는 않습니다. 이럴 때 유용한 사이트가 있습니다. 바로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입니다.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 인구변동요인 설정 인구 변동 요인은 출생, 사망, 국제이동이며, 각 요인에 대한 가정(고위,중위,저위)에 따라 31개의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공식적인 추계인구는 출생, 사망, 국제이동이 모두 중 kosis.kr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유용한 카테고리는 체험마당에 있는 '인구피라미드'입니다. '인구피라미드'는 인구에 영향을 주는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변수를 설정해서 앞으로의 인구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저출생이 지속..

트렌드 정보 2022.03.11

식품트렌드를 알 수 있는 AT FIS(식품산업통계정보)

사람이 살아갈 때 필수적인 요소를 보통 의식주라고 합니다. 의식주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식(食), 즉 먹을 것입니다. 사람은 먹지 못하면 살 수 없기 떄문입니다. 그러므로 식품산업은 트렌드에 굉장히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집은 어차피 못 사고, 옷은 안 사도 되지만 음식은 매일 먹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식품산업 트렌드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주는 사이트가 바로 AT FIS(식품산업통계정보)입니다. FIS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 FIS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 웹사이트입니다. www.atfis.or.kr AT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의 줄임말입니다. FIS는 food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의..

트렌드 정보 2022.03.07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으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썸트렌드'(sometrend)

안녕하세요. 이번에 소개드릴 유용한 트렌드 분석 도구는 '썸트렌드(sometrend)'입니다. '썸트렌드'는 블로그, 인스타그램, 트위터, 네이버 뉴스, 커뮤니티 등 여러 채널을 분석하여 다양한 인사이트를 도출해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관심 있는 단어가 얼마나 많이 언급되었는지 '언급량'을 분석할 수 있고, 관련된 '연관어' 분석, 긍정어와 부정어를 통한 '감정 분석'도 가능합니다. 또한 내가 검색한 단어의 언급량, 연관어, 감정어를 다른 단어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와 애플의 스마트폰 아이폰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한 거죠. 실제로 '갤럭시'를 썸트렌드에 검색을 해보며, 대표적인 기능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이미지는 최근 1달 동안 '갤럭..

트렌드 정보 2022.03.03

카드 데이터로 읽는 트렌드 공간 '신한카드 빅데이터 연구소'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유용한 도구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린 '네이버 데이터랩'은 검색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사람들이 무엇을 검색했는지 보면, 사람의 생각을 알 수 있습니다. 검색 데이터처럼, 어쩌면 그 이상으로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소비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소비 데이터는 사람의 행동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소비 데이터를 바탕으로 트렌드를 읽는 곳이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입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 연구소는 네이버 데이터랩과는 달리, 외부에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크게 3가지 카테고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트렌드 클립', '이슈 트렌드', '트렌드 뉴스'입니다. 이미지를 보면 알 수..

트렌드 정보 2022.03.03

지역 통계, 댓글 통계를 알 수 있는 네이버 데이터랩(2)

앞서 포스팅한 네이버 데이터랩 소개글에 이어 네이버 데이터랩을에 대해 마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포스팅에는 검색어 트렌드와 쇼핑 인사이트에 대해서 말씀드렸는데, 이번에는 지역통계, 댓글 통계기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3. 지역통계 지역통계에서는 크게 지역별 관심도와 카드사용통계를 알 수 있습니다. 지역별 관심도를 누르시면, 시/군/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지역의 관심 업종 순위 및 업종별 인기 지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초구에서 음식점을 살펴보면 서초동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초동은 아래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교대역과 강남역이 위치한 곳으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지역이죠 사람들의 관심도에서 주목해야할 점은 오히려 서초동이 아니라 갑자기 검색량이..

트렌드 정보 2022.03.01

네이버 검색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데이터랩'(1)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시는 분은 아시지만, 동시에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모르는 '네이버 데이터랩'에 대해서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트렌드를 파악할 때 정말 유용한 도구 중 하나가 '네이버 데이터랩'입니다. 하지만 트렌드를 넘어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정말 어마어마하니 꼭 활용해보셔야 합니다. 첫째. 검색어 트렌드 기능 네이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검색엔진입니다. 검색어 트렌드는 네이버에서 특정 검색어가 얼마나 많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량은 곧 사람들의 관심도를 말하므로, 매출에 직결됩니다. 총 5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범위, 성별, 연령, 기간을 설정하여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간은 2016년부터 지원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라면이 ..

트렌드 정보 2022.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