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정보

네이버 검색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데이터랩'(1)

Trend Reader 2022. 3. 1. 20:51
728x90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시는 분은 아시지만, 동시에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모르는 '네이버 데이터랩'에 대해서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트렌드를 파악할 때 정말 유용한 도구 중 하나가 '네이버 데이터랩'입니다. 하지만 트렌드를 넘어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정말 어마어마하니 꼭 활용해보셔야 합니다. 

 

첫째. 검색어 트렌드 기능

네이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검색엔진입니다. 검색어 트렌드는 네이버에서 특정 검색어가 얼마나 많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량은 곧 사람들의 관심도를 말하므로, 매출에 직결됩니다. 

 

총 5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범위, 성별, 연령, 기간을 설정하여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간은 2016년부터 지원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라면이 얼마나 검색되었는지 살펴보면 위와 같습니다. 검색량이 많은 순서는 짜파게티 > 신라면> 진라면 > 삼양라면 > 안성탕면 순입니다. 

 

그러나 검색량이 많다고 곧 판매량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2020년 상반기 라면 판매량 순위는 신라면 > 짜파게티 >안성탕면 > 진라면 > 삼앙라면라고 합니다.

 

순간적으로 이슈가 되면 검색량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검색량 데이터 그 자체보다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해석하는 능력입니다. 기간, 성별, 연령을 다양하게 설정하며 변화를 고찰해야하는 것이죠. 

 

둘째. 쇼핑인사이트 기능

쇼핑인사이트 기능은 크게 분야 통계와 검색어 통계로 나누어집니다. 

 

분야 통계는 패션의류, 패션잡화, 화장품/미용, 디지털/가전, 가구/인테리어 등 각종 분야에 대한 통계를 알 수 있습니다.

 

최근 1년간 국내 기저귀에 대해 검색한 것입니다. 모바일에서 30대 여성이 많이 검색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저희는 디지털 디바이스 사용 트렌드, 육아 트렌드, 결혼 트렌드를 바로 알 수 있스니다. 

 

기저귀 산업에 종사하는 마케터라면 어떤 국내 기저귀가 가장 인기인지 확인하고, 마케팅 전략을 짜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분야별로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저는 한번 기저귀 품목들을 분류해보았는데, 전체적으로 수입 기저귀보다는 국내 기저귀에 대한 조회가 압도적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검색량이 적은 수입 기저귀 업체는 그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죠. 

 

국내 기저귀 업체도 마찬가지입니다. 쇼핑 분야 분석은 2017년 8월부터 가능한데, 만약 국내 기저귀와 수입 기저귀 업체 간 검색량 차이가 점점 줄어들고 있었다면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이 이외에도 지역통계, 댓글 통계 등 기능이 있는데 글이 너무 길어지면 읽기가 불편하므로 다음 편에서 마저 설명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