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소개드릴 트렌드를 파악하기 좋은 사이트는 구글 검색 트렌드를 알 수 있는 'Google 트렌드' 입니다.
Google 트렌드
trends.google.co.kr
이전에 소개드린 '네이버 데이터랩'이 네이버 검색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라면, Google 트렌드는 세계 최대의 검색 포털인 구글의 검색 결과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Google 트렌드는 아무래도 우리나라의 트렌드를 살펴보기 보다는 전 세계, 특히 미국의 트렌드를 파악하기 좋은 사이트입니다.
구글 트렌드는 최대 5가지 검색어를, 2004년부터 현재까지를 기준으로, 비교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검색량에는 미국 중심의 서구권의 영향력이 클 것이지만, 세계는 이제 하나의 마을로 취급되고 있고 동시에 한국도 선진국의 반열에 올랐으므로 Google 트렌드의 검색 결과는 충분히 의미가 있습니다.
또한 구글 트렌드는 지역별 검색량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미국으로 지역을 한정하여,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 지난 1년간 관심도를 비교했는데, 바로 미국 '각 주별 관심도'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었죠.
한 번 Google 트렌드와 네이버 데이터랩 검색 결과를 비교해보겠습니다.
22.01.08 ~ 22.03.08 기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양 거대 정당의 대선 후보들을 비교하니, 당시 이재명 후보가 윤석열 후보보다 관심도가 컸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동일 기간을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검색했을 때, 결과값은 정 반대로 나옵니다.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보다 검색량이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검색량이 곧 득표율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20대 대선의 결과 윤석열 후보가 당선이 되었다는 것을 볼 때, 아무래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는 네이버가 좀 더 정확했던 것 같습니다.
Google 트렌드는 이에 더해 '인기 급상승 검색어', '올해의 검색어' 메뉴를 통해 트렌드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큰 장점이 있는 사이트이니, 구글 검색과 관련하여 인사이트를 얻고 싶은 분들은 활용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트렌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와대 개방 후기(관람시 주의사항, 예약법, 코스추천, 반려동물 동행 가능 여부) (0) | 2022.06.07 |
---|---|
IT 트렌드를 알 수 있는 '미디어 통계포털' (0) | 2022.03.16 |
인구 변화를 알 수 있는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 사이트 (2) | 2022.03.11 |
식품트렌드를 알 수 있는 AT FIS(식품산업통계정보) (0) | 2022.03.07 |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으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썸트렌드'(sometrend) (0) | 2022.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