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된다는 사실은 모두 알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세상이 변화할지 한눈에 들어오지는 않습니다.
이럴 때 유용한 사이트가 있습니다. 바로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입니다.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
인구변동요인 설정 인구 변동 요인은 출생, 사망, 국제이동이며, 각 요인에 대한 가정(고위,중위,저위)에 따라 31개의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공식적인 추계인구는 출생, 사망, 국제이동이 모두 중
kosis.kr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유용한 카테고리는 체험마당에 있는 '인구피라미드'입니다.
'인구피라미드'는 인구에 영향을 주는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변수를 설정해서 앞으로의 인구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저출생이 지속될 것 같으면 '현재 수준'(0.84명)으로 설정해서 결과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0.84명으로 설정해서 결과 보기를 클릭한 다음, 2050년으로 시점을 돌려보았습니다. 30년 뒤에 우리나라 인구구조가 한눈에 보입니다. 엄청난 수의 노년층과 빈약한 10~20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유용한 코너는 '숫자로 보는 인구' 카테고리입니다. 인구와가구, 출생과사망, 혼인, 연령구조, 부양비, 다문화로 구성되어 각각에 대한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구와 가구'를 검색하면 위와 같은 표가 나옵니다. 2022년 올해 이미 인구 감소가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50년까지 인구 감소는 천천히 진행됩니다. 이 말은 그만큼 고령인구가 많다는 뜻과 동일합니다.
연령별 인구구조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5.7% 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고령인구는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증가한다는 사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 사이트는 정말 유용한 사이트니, 인구변화에 관심있는 분들은 주기적으로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트렌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검색 트렌드를 알 수 있는 'Google 트렌드' (1) | 2022.04.05 |
---|---|
IT 트렌드를 알 수 있는 '미디어 통계포털' (0) | 2022.03.16 |
식품트렌드를 알 수 있는 AT FIS(식품산업통계정보) (0) | 2022.03.07 |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으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썸트렌드'(sometrend) (0) | 2022.03.03 |
카드 데이터로 읽는 트렌드 공간 '신한카드 빅데이터 연구소' (2) | 2022.03.03 |